수도생활 15

어느 러시아인 사제의 일기 15

67. 악마에 대한 새로운 정교의 신념은 그것이 보잘것없고 그림자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메피스토펠레스(J. W. 폰 괴테의 소설 ‘파우스트’에 나오는 악마. 유혹자)의 장엄하고 위풍당당한 모습은 우리에게 낯섭니다. 악마는 우뚝 솟아있는 고상함이나 고결함이 아닙니다. 그는 썩 뛰어나지는 않은 평범함이며, 보잘것없이 작고 하찮은 것입니다. 68. 신지학(神智學, theosophy), 신비학(오컬티즘. 물질과학으로 설명할수 없는 ‘숨겨진 지식’을 탐구하는 학문), 심령주의(spiritualism)의 실천은 정신건강에 대한 그것의 영향면에서 해로울뿐 아니라, 그 근거와 기반으로서 닫혀진 문을 통해 들여다보려는 부정한 욕망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는 신비의 실존을 겸손하게 받아들여야만 하며, 엿듣기 위해서..

넥타리오스 성인 5

- 자신을 정당화하고 다른 사람을 비난하는 사람은 어리석게도 하느님을 조롱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그분은 모든 것을 다 아시기 때문에 속임을 당하실수 없습니다. 자신의 죄를 숨기는 사람은 부끄러움 때문에 자기의 병을 감춤으로써 자신의 진정한 병력(病歷)을 의사에게 알려주지 않는 환자처럼 고통을 겪습니다.  - 성 넥타리오스 펜타폴리스의 주교(1846-1920. 그리스 애기나섬의 성삼위 수도원 설립자)

사랑의 포도

어느날 한 방문자가 잘 익은 포도를 가지고 수도원을 찾아왔다. 이 선물을 받은 수도원장은 포도가 너무 맛있어 보여서 원로 수도자에게 드리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하여 그에게로 보냈다. 원로 수도자는 고맙게 생각하였으나 아픈 사람이 있는데 늙었다고 해서 이것을 내가 먹을수 있겠는가 하여 아파 누워있는 수도자에게 포도를 보냈다. 포도를 받은 아픈 수도자는 그것을 수도원에서 가장 어려운 일을 하며 많이 수고하고 있는 수도자에게 보냈다. 이 포도를 받아든 수도자는 그 뜻은 고마웠으나 수도원장님이 계시는데 자기가 그것을 어떻게 먹을수 있는가 하고 생각하였다. '수도원장은 자신은 돌보지 않고 수도원의 모든 수도자들을 위해 모든 책임을 지고 수고하고 계시지 않는가... ' 이렇게 생각한 그는 바로 수도원장에게 그 포도를..

+ 토마스 홉코 신부의 교회사 4

4세기 콘스탄티노스 4세기는 초기 교회에 대해 벌인 것 가운데 가장 심한 박해, 곧 디오클레티안 황제의 박해와 함께 시작되었다. 초기 순교자들의 가장 긴 명단이 이 시기(303-306년)에서 비롯된다. 디오클레티안이 물러난 뒤 제국의 지도자들 사이에는 권력투쟁이 벌어졌다. 312년에 콘스탄티노스는 서방의 왕좌를 놓고 주 경쟁자 막센티우스와 전투를 벌이게 되었다. 로마 근처의 밀비안(Milvian) 다리 전투를 앞두고서 콘스탄티노스는 한 환상을 보게 되는데, 아마도 꿈에서였던 것같다. 그는 ‘이 표시로써 정복하라’는 말과 함께 그리스도의 십자가 또는 라바룸(Labarum[Chi Rho: XP])을 보았다. 그는 그리스도교의 상징을 자기 군인들의 겉옷과 무기에 달았고, 전투에서 승리했다. 콘스탄티노스는 곧바..

정교회의 역사 2020.11.05

성 테오판 은둔자

수도생활 자체는 하느님 앞에서 깨끗하고 정결한 상태로 스스로를 지키고 보호하기 위해 정념(情念, 영어의 passion. 그리스어로는 파토스 παθός. 곧, 악으로 기우는 온갖 인간적 욕망과 정욕들. 또는 유한한 사물과 인간에 대한 끝없는 집착[루마니아 신학자 드미뜨루 스타닐로아에의 정의]을 가리킴. )을 정복하며 뿌리를 뽑아나가는, 끊임없이 계속되는 노동이다. 따라서 이것이 바로 너에게 주어진 과제이다! 이 일에 주의를 기울이고, 모든 힘을 이것에 쏟아라. - 성 테오판 은둔자(1815-1894, 러시아)